카테고리 없음

표준경쟁과 지배적 디자인

히퓨 2024. 6. 10. 19:38

Q.지배적 디자인은 왜 발생하며, 지배적 디자인이 채택되는데, 영향을 미치는데 어떤 가치들이 적용이 되는가?

일반적인 전통경제학에서는 Q=F(K,L) 생산량 =(자본,노동)을 통해, 수확 체감의 법칙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었음
그러나, 현대의 신 경제학에서는 Q=T*F(K,L) / 생산량 = 기술*(자본,노동)으로, 수확 체증 법칙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 기존 경제학에서는 자본과 노동이 증가함에 따라 생산량이 '제한'되어 있다고 생각했으나, 현대 경제학에서는 기술이 개입되면서 자본과 노동이 증가할수록 생산량이 증가한다고 보았음. 특히, 지식은 양이 무한하기 때문임

 

지배적 디자인은 하나의 제품 카테고리가 시장에서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하나의 제품 혹은 프로세스 구조를 의미한다. 지배적 디자인은 수확 체증 법칙으로 인해서 발생하는데, 수확 체증 법칙은 1)학습효과(기업관점) 2)네트워크 외부성(소비자 관점) 3)정부 규제에 따라 발생한다.

지배적 디자인이 수확 체증 법칙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을 위에서 언급한 3가지 요소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는데

1)학습효과

기업은 소비자가 자신의 제품을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고객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됨. 이에 따라 기업은 효과적으로 제품을 만들 수 있게되고 고객 Lock-In이 된다.

또한 생산이 반복될 수록, 제품을 더욱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고 고객의 돈을 통해, 제품 기술 발전에 더욱 투자할 수 있음

즉, 기업은 소비자를 확보하여 데이터를 모으고 학습하여 제품의 질을 높인다는 것이다

 

2)네트워크 외부성 효과

네트워크 외부성은 사용자에 대한 제품의 가치가 같거나 비슷할 시, 사용자들의 수에 따라 가치가 증가하는 것을 일컫는다.

 

 

고객 기반의 크기 / 보완재의 가용성을 토대로 구분할 수 있다.

 

고객 기반의 크기가 클수록, 사람들은 제품이 더욱 가치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 사람들이 많이 쓰면 쓸수록 제품이 보장된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제품 간 호환성을 증가시켜 전환비용을 높여 고객 이탈률을 줄일 수 있다.

 

보완재의 가용성은 특정 제품 가치를 올려주는 제품 및 서비스의 활용을 통해 이를 막아준다는 것

 

3)정부의 규제 - 기술 호환성을 통해, 소비자의 복리를 증진시킬 수 있을 시, 정부 규제를 통해서 독점적인 지배적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

 

결론적으로, 하나의 지배적 디자인은 수확 체증 법칙에 따라 형성이 되며, 수확 체증 법칙은 1)기업 관점(학습효과) 2)소비자 관점(네트워크 외부성) 3)정부 관점(정부 규제)에 따라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

 

지배적 디자인이 선택되는 기준은 3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1) 기술적 효용 2) 고객기반 3)보완재의 가용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기술의 가치가 크면 클수록 지배적 디자인으로 선택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2)고객 즉, 사용자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지배적 디자인으로 선택된다. 사용자가 적거나, 호환되는 보완재의 수가 적으면 지배적 디자인으로써의 궤도에 올라가지 못함

 

기존의 사용자 기반과 보완재의 호환성

 

기업은 가치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주어 지배적 디자인으로써의 채택확률을 높여야하는데 실제 가치는 불변하기 때문에, 확정적이나 인지 가치와 기대 가치는 증가시킬 수 있다